자연과 조화를 이룬 궁궐

창덕궁 후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은 1997년 조선 왕궁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궁궐로서, 원래의 자연 지형을 존중하기 위해 기존의 궁궐 건축 형식을 창의적으로 변형하여 건축과 조경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아름다운 궁궐로 알려져 있다. 창덕궁의 후원은 물길이 있는 곳은 그대로 살리고, 언덕이 있으면 빙 둘러 길을 내는 한국 전통 조원문화(造苑文化)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대표적인 정원이다.

창덕궁에서 후원으로 향하는 길은 주변으로 들어선 울창한 나무들이 만드는 짙은 그림자와 오르막길에 가리어진 전경으로 인해 언덕 너머에는 어떤 공간이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오르막에 올라 길을 따라 좌측 내리막길로 시선을 돌리면 빛이 가득한 큰 공간이 열리면서, 건축과 조경이 하나로 어우러진 아름다운 후원을 만나게 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에서 후원으로 향하는 길은 주변으로 들어선 울창한 나무들이 만드는 짙은 그림자와 오르막길에 가리어진 전경으로 인해 언덕 너머에는 어떤 공간이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오르막에 올라 길을 따라 좌측 내리막길로 시선을 돌리면 빛이 가득한 큰 공간이 열리면서, 건축과 조경이 하나로 어우러진 아름다운 후원을 만나게 된다.

©사진제공(박기주)-한국관광공사

부용지는 창덕궁 후원의 대표적인 연못으로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사상을 반영하여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못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렸고, 남쪽 모서리에는 잉어 한 마리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의 물고기 조각상이 있는데, 이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물과 물고기에 빗댄 것이다. 부용정은 부용지의 남쪽 면에 지은 마루식 정자로 건물의 북쪽 부분이 연못 안쪽으로 돌출되어 그 모습이 마치 두 발을 담그고 연못가에 앉은 형태이다. 연못으로 돌출된 부분의 지붕은 2익공(二翼工) 공포1를 짜 올렸는데 전체적인 건물의 비례에 맞게 조정된 크기로 아담하면서도 당찬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궁궐 건축의 장식이 건물의 크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부용지의 북쪽에 위치한 주합루는 2층 규모의 왕실도서관으로 ‘주합(宙合)’의 의미는 ‘우주와 합일’ 한다는 뜻이다. 경사진 지형에 따라 화계2와 취병3으로 단을 조성하고 그 위에 배치되어 자연과의 조화가 잘 느껴지는데, 특히 주합루 2층 열람실에서는 아래쪽으로 펼쳐지는 부용지와 부용정의 경관뿐만 아니라 사방을 둘러싼 오랜 수령의 아름다운 나무숲도 조망할 수 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TIP
창덕궁에서는 매년 봄, 가을마다 한국 전통의 멋과 야경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창덕궁 달빛기행(www.chf.or.kr)을 운영한다.
주변관광지
창경궁, 종묘, 북촌한옥마을, 인사동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위치
지하철 1․3․5호선 종로3가역 7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도보 5분
전화
02-3668-2300
입장료
3,000원
홈페이지
www.cdg.go.kr
운영시간
2-5월 및 9-10월 09:00-18:00,
6-8월 09:00-18:30,
11-1월 09:00-17:30 / 월요일 휴관
궁궐관람
프로그램

영어(10:15,13:15),
중국어(10:00,16:00), 일어(11:00)
후원관람
프로그램

영어(10:30,11:30,14:30,15:30),
중국어(12:30), 일어(13:30)
장중한 품격이 느껴지는 조선의 정궁

경복궁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은 1392년 건국되어 500년 이상 이어진 조선왕조의 궁궐 가운데 가장 처음으로 지어진 궁궐로서, 북쪽의 북악산을 배경으로 하여 남쪽 방향으로 ‘교태전(交泰殿/왕비의 침전)’, ‘강녕전(康寧殿/국왕의 침전)’, ‘사정전(思政殿/국왕의 업무동)’, ‘근정전(勤政殿/궁궐의 중심 건물)’, ‘근정문(勤政門/근정전의 정문), ‘흥례문(興禮門/궁궐의 중문)’, ‘광화문(光化門/궁궐의 정문)’을 일직선 축에 따라 배치한, 조선의 궁궐 중에서도 가장 장중한 품격이 느껴지는 궁궐이다. 조선의 첫 번째왕인 태조는 자신의 나라가 장차 큰 복을 누리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궁궐의 이름을 ‘큰 복을 누리는 궁궐’이라는 뜻의 ‘경복궁(景福宮)’으로 지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경복궁의 중심 건물인 근정전은 한국에 현존하는 가장 큰 목조건축물이다. 임금의 즉위식 등 국가의 중요한 의식이 행해지던 근정전은 3단의 석축 위로 올려진 2층 규모의 웅장한 목조 건축물과 날개를 활짝 편 듯한 우아한 기와지붕이 경복궁의 배경을 이루는 북악산, 인왕산과 어우러지면서 장엄한 자태를 뽐낸다. 이에 더해 3단 석축 주변을 두른 석재 난간의 기둥을 장식하는 다양하면서도 정겨운 표정의 동물 조각들은 근정전의 장엄한 자태에 따뜻한 정감을 더해 준다. 근정전 앞마당 전체에는 석공이 일일이 다듬어 만든 박석(薄石)이 깔려 있는데 햇빛을 난반사(亂反射) 시켜 눈부심을 없애 주고, 비가 오면 물줄기를 땅속으로 자연스럽게 흘려보내주는 기능적인 면에 더해 근정전 공간에 고풍스러운 멋을 선사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은 1392년 건국되어 500년 이상 이어진 조선왕조의 궁궐 가운데 가장 처음으로 지어진 궁궐로서, 북쪽의 북악산을 배경으로 하여 남쪽 방향으로 ‘교태전(交泰殿/왕비의 침전)’, ‘강녕전(康寧殿/국왕의 침전)’, ‘사정전(思政殿/국왕의 업무동)’, ‘근정전(勤政殿/궁궐의 중심 건물)’, ‘근정문(勤政門/근정전의 정문), ‘흥례문(興禮門/궁궐의 중문)’, ‘광화문(光化門/궁궐의 정문)’을 일직선 축에 따라 배치한, 조선의 궁궐 중에서도 가장 장중한 품격이 느껴지는 궁궐이다. 조선의 첫 번째왕인 태조는 자신의 나라가 장차 큰 복을 누리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궁궐의 이름을 ‘큰 복을 누리는 궁궐’이라는 뜻의 ‘경복궁(景福宮)’으로 지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TIP
경복궁은 한복을 착용한 관람객들에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모두 가능하며, 경복궁 인근에 위치한 다수의 한복대여점에서 한복을 대여할 수 있다.
주변관광지
서촌마을, 통인시장, 청와대사랑채, 국립민속박물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위치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전화
02-3700-3900
입장료
3,000원
홈페이지
www.royalpalace.go.kr
운영시간
11-2월 09:00-17:00, 3-5월 09:00-18:00,
6-8월 09:00-18:30, 9-10월 09:00-18:00 / 화요일 휴관
조선의 근본이자 상징이 되는 공간

종묘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조(1392~1910)는 태조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대에 걸쳐 519년간 이어온 왕조로서,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이다. 이곳에서는 왕이 국가와 백성의 안위를 기원하기 위해 문무백관(文武百官)과 함께 정기적으로 제사를 올리는 제례의식이 거행되었다. 종묘의 중심 건축물인 정전은 정면 입면의 너비가 무려 101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단일 목조 건축물로서 해외 건축가들 사이에서는 동양의 파르테논으로 불리며, 흔히들 한국 건축여행 목록의 첫 번째로 꼽는다. 스페인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설계한 프랭크 게리(Frank O Ghery)는 종묘와 관련된 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고요하고 장엄한 공간은 세계 어디서도 찾기 힘들다.”라고 종묘에서 느낀 감동을 표현하였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가로로 100미터가 넘게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지붕과 열주(列柱)들이 만드는 종묘 정전의 정면은 단순하고 절제되어 있으면서도 크기가 장중하여 종묘 정전을 마주하는 사람들을 엄숙하게 만든다. 특히 정전의 지붕선은 조선의 여타 궁궐 건축 지붕의 아름다운 곡선이 아닌 직선의 강직한 형태로 급한 경사를 이루며 바닥까지 덮을 듯 내려오는데, 그 형태만으로도 장엄하며 정전 정면에 깊고 짙은 그늘을 만들어 그 느낌을 더한다. 거대하게 이어지는 지붕을 받치기 위해 길게 늘어선 열주와 열주가 만드는 긴 월랑(月廊) 또한 이 건축물에 엄숙함을 더한다. 지붕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열주 역시 여타 조선의 궁궐 건축과는 달리 아무런 장식 없이 단청도 올리지 않았는데, 이 건축이 인간을 위한 건축이 아닌 영혼을 위한 신성한 건축임을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사진제공(IR 스튜디오)-한국관광공사

종묘의 정전이 방문자의 시선을 우선 사로잡지만, 건축 공간으로서의 중심 역할을 하는 것은 정전 앞에 넓게 펼쳐진 월대이다. 월대는 정전 건물 앞마당으로 지면에서부터 1미터 높이로 돌을 쌓아 조성한 가로 109미터, 세로 69미터에 이르는 드넓은 비움의 공간이다. 바로 이 공간에서 종묘제례[efn]종묘제례는 정시제(定時祭)와 임시제(臨時祭)가 있었다. 정시제는 사계절의 첫 달(1월, 4월, 7월, 10월) 상순에 지냈으며, 임시제는 그밖에 나라에 흉사나 길사가 있을 때마다 지냈다. 현재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전통 제례 의식으로 종묘 제례를 이어가고 있다. 2001년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efn]가 거행되는데, 정전에 모신 영혼을 이 마당으로 불러내어 죽은 자와 산자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종묘 건축의 중심이다.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TIP
5월 첫째주 일요일 개최되는 종묘대제에서는 종묘제례 및 제례악을 관람할 수 있다.
주변관광지
인사동, 광장시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57
위치
지하철 1․3․5호선 종로3가역 11번 출구에서도보 5분
전화
02-765-0195
입장료
1,000원
홈페이지
jm.cha.go.kr
운영시간
2-5월 및 9-10월 09:00-18:00,
6-8월09:00-18:30, 11-1월 09:00-17:30 / 화요일 휴관
글 윤신용 작가 | 사진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한국관광공사 사진갤러리
클라이언트 KTO | 제작사 디그램(아름다운 한국의 건축물 순례) ⓒdgr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물에 사용한 사진의 저작권은 촬영자가 보유하고 있으며, 무단 사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The copyright of the photo used in the posting is held by the photographer, and it is prohibited to use it without permission.

1개의 댓글

댓글을 남겨주세요